본문 바로가기
Computing

MS Custom Domain VS. Google Apps

by Goodgeist 2011. 1. 26.
반응형
요즘은 다양한 포털에서 대용량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모바일 장비들과 연동하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는게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자신의 홈페이지를 운영하는데 같은 이름으로 메일서버를 운영하고 싶다던지, 온라인 상에서 보다 Identity를 원할 경우에는 적합한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 또한 일부 포털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언급할 MS Custom Domain 서비스와 구글의 앱스 서비스는 일부 포털에서 제공하는 메일 서비스와는 차원이 다른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에서는 저렵한 서비스 가격으로 기업솔루션으로 채택, 활용하고 있다.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만 활용해도 강력한 메일 솔루션을 보유한 것 같은 서비스를 받는 두 솔루션을 검토해 보자.

본 자료를 개인의 정리용으로 작성하였으며 내용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알려주시면 검토 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MS Custom Domains Service / 사용자 도메인 서비스 (https://domains.live.com)

MS에서 제공하는 hotmail 환경과 동일한 환경으로 메일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메일 계정을 생성하면 live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서비스를 동일하게 받을 수 있다. 아웃룩과 연동하면 메일뿐만 아니라 연락처, 일정등이 모두 연동가능하다. 즉 MS의 익스체인지 서버와 동일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 가장 장점이다.
스카이드라이브와 그룹, 웹오피스, MSN의 활용등의 서비스도 같이 받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개인적인 단점이라면 해당 서비스를 MSN와 개인적으로 좋아하시 않는 Joins와 서비스를 한다는 점이다. 로그아웃시 한글로 설정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Joins MSN 페이지로 이동한다. 언어가 영어로 설정되어 있으면 영문 사이트 이동한다.


구굴에서 제공하는 앱스서비스. 기업용 서비스와 무료 서비스가 있다.
처음에는 내가 사용하는 WM 기반의 옴니아2와 연동하여 보고 MS보다 더 MS 같다는 생각이 들정도였다.
구글에서 서비스하는 익스체인지 메일 서비스 같은 느낌이라고 할까. 허나 몇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
우선 무료 버전에는 아웃룩과 연동이 안된다. 하지만 전혀 안되는 것은 아니다. 메일 설정에서 IMAP나 POP설정으로 아웃록에서 사용도 가능하다. WM기반의 모바일 기기에서 엑티브싱크에서 m.google.com으로 설정하고 메일이 들어오는 순간 이게 정말 MS의 경쟁사라는 생각이 들정도로 동기화도 잘된다.

지금 개인적으로는 MS의 커스텀 도메인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구글을 사용하면서 느낀 가장 아쉬운 점은 구글의 문제는 아니지만 한글 메일이 깨져서 들어오는 현상이 있다. 보내는 사람이 메일을 표준 인코딩으로 하지 않을 경우 나타다는 현상이라고 하는데 메일제목이 전부 "????????"형식으로 보여지는 현상이 있다. 또한 서버에서 업데이트 한 내용이 모바일 장비로 동기화는 잘되는데 모바일 장비에서 입력된 자료는 서버와 동기화가 잘 안되는 것 같다. 즉, PC에서 구글 앱스에 접속에서 연락처를 입력하면 모바일 장치에 연락처에도 자동으로 추가된다. 하지만 모바일 장치에서 연락처를 입력하면 구글에 접속해서 확인하면 추가되어 있지가 않았다. 이건 WM 스마트 폰이라서 그런건지 전체가 단말기가 다 그런지는 테스트를 못해서 모르겠다.

두 서비스를 비용하여 보면 WM 스마트 폰을 쓰고 아웃록 환경에 익숙한 나로써는 MS의 커스텀 도메인 서비스에 한표를 준다.
물론 구굴의 앱스를 유로로 사용할 경우 어떻게 바뀔지 모르겠지만 무료 VS 무료를 비교할 경우에 개인적인 결론인다.
첨에는 joins가 싫고, live와 모바일 장치의 동기화가 장치의 Windows live외에는 없는 줄 알고 구굴을 사용하였지만, 결국 DNS 네임서비스를 다 고쳐서 MS 서비스로 변경하였다.

물론 이건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이다. 안드로이드 폰에 구굴의 어플리케이션이 익숙한 사람은 다른 결론일 것이다.

반응형

댓글